
땀쟁이 시즌이다.
여름이 다가오면 자연스럽게 땀을 흘린다.
덥고 습한 날씨는 우리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땀을 분비한다.
이 땀은 체취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땀 자체는 무취지만, 땀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냄새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이 글에서는 땀과 체취의 관계, 그 원인,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체취의 원인과 땀샘의 역할
인체에는 두 가지 주요한 땀샘이 있다.
전신에 분포하는 에크린 땀샘과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있는 아포크린 땀샘이 그것이다.
에크린 땀샘은 체온 조절을 위해 주로 작용하며, 99%가 수분으로 구성된 무취의 땀을 분비한다.
반면, 아포크린 땀샘은 겨드랑이, 유륜, 배꼽, 외음부 등에 위치해 있으며, 끈적하고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땀을 분비한다.
에크린 땀샘에서 나오는 땀은 일반적으로 냄새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땀이 몸의 특정 부위에서 오래 머물게 되면 상재균이 증식하여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발은 하루에 약 200ml의 땀을 배출하는데, 신발을 신은 채로 오랜 시간 동안 습기가 차면 시큼한 냄새 물질이 생성된다.
습도가 높고 무더운 시기에는 두피에서도 냄새가 날 수 있다.
두피 냄새의 원인은 피지와 땀이다.
피지와 땀이 상재균에 의해 분해되거나 산화되면서 디아세틸과 노네랄 같은 냄새 물질이 발생한다.
특히 두피 냄새는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포크린 땀샘에서 나오는 땀은 단백질과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상재균에 의해 분해되면 특유의 냄새가 발생한다.
주로 액취증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다.
액취증 환자의 97%가 축축한 귀지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땀으로 인한 냄새 해결 방법
냄새가 신경 쓰일 때에는 몇 가지 방법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한증으로 인해 땀이 많이 나는 경우 땀의 양을 줄이는 치료가 필요하다.
염화알루미늄 제제를 사용하는 도포제 치료법은 땀 배출구를 막아 땀을 억제한다.
피부과에서 처방받을 수 있으며, 거의 전신에 사용할 수 있다.
전신의 땀을 멈추게 하려면 항콜린성 약물을 복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졸음, 갈증, 변비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액취증의 관리와 치료
액취증이 심한 경우 생활습관 개선이나 자가 치료만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이럴 때는 의료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아포크린 땀샘을 절제하는 수술은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겨드랑이를 절개하여 아포크린 땀샘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레이저로 겨드랑이 땀샘을 소작하는 치료법이 있다.
이 방법은 고가이지만 매우 효과적이다.
부위별 냄새 관리
발 냄새는 단순히 냄새를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냄새의 원인인 땀과 세균을 억제해야 한다.
발의 상재균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력과 살균력이 강한 바디워시를 사용해 씻어야 하며, 각질이 두껍게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각질 케어를 하는 것이 좋다.
두피 냄새의 경우, 항진균 작용을 하는 샴푸나 탈취 효과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충분한 수면과 적절한 휴식으로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비타민 B2와 비타민 B6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면 지질 대사를 원활하게 도와준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TV를 켜고 잠들면 안되는 이유